
칫솔질을 너무 세게 하면 치아가 마모돼 시린 증상이 생길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치아 세게 닦거나, 질긴 음식 자주 먹으면 생겨
치경부마모증은 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경계 부분인 치아의 목 부분(치경부)이 마모돼 패인 것이다. 일차적으로 ▲강한 힘으로 칫솔질하거나 ▲질기고 단단한 음식을 자주 먹거나 ▲잘 때 이를 갈거나 ▲치아를 악무는 습관이 있으면 목 부분의 얇은 법랑질이 깨질 수 있다. 이차적으로 계속 마모가 진행된다. 법랑질이 마모되면 연한 상아질이 남게 된다. 상아질은 치아 신경 부분과 가까워 자극에 민감하다. 이에 치경부마모증이 생기면 찬 음식이나 물을 마셨을 때 시린 통증이 발생한다. 또 사과처럼 산성이 강한 과일을 먹으면 쑤시는 듯한 통증이 나타난다. 초콜릿같이 단것을 먹어도 당 때문에 유사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치경부마모증은 증상이 발현과 잠복을 반복해 나타나며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고통을 주기 때문에 심각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하지만 치경부마모증을 방치하면 마모된 부위에 음식물이 껴 충치가 생길 수 있다. 또 패인 부위가 점점 커지고 깊어져 나중에는 치아가 부러져 발치해야 하는 상황까지 올 수 있다.
◇패인 부분은 레진으로 메꿀 수 있어
마모된 부분은 대부분 레진 등 재료를 선택해 메꿀 수 있다. 레진은 색깔을 치아와 유사하게 조절해 실제와 거의 차이가 없다. 하지만 치아 마모가 심각하게 진행된 경우 신경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치아 마모가 심각하면 신경이 밖으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은 힘으로 칫솔질하고, 치실·치간 칫솔 활용해야
치경부마모증은 재발 우려가 커서 스스로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단단한 음식을 자주 먹거나, 치아를 갈거나, 악무는 등의 생활 습관을 버려야 한다. 또 치아에 자극을 주지 않는 선에서 칫솔질해야 한다. 칫솔질은 수평으로 치아 표면을 문지르며 닦기보다는 홈에 낀 이물질을 빼낸다는 느낌으로 닦는다. 윗니는 위에서 아래로, 아랫니는 아래에서 위로 쓸 듯 닦고 앞니 안쪽은 칫솔모를 세워 닦아준다. 칫솔로 모든 이물질을 제거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치아를 닦으면 과도하게 힘을 줄 수 있다. 적은 힘으로 칫솔질을 한 후, 치실이나 치간 칫솔을 활용해 이물질을 빼는 것이 좋다. 정기 검진을 통해 치아 상태를 자주 확인해 줘야 한다.
Copyright©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 : v.daum.net/v/20240121230016732
'Newspa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반 값도 안된다는"... 일본 여행에서 꼭 사야할 위스키 추천 5 (1) | 2024.05.11 |
---|---|
“칫솔 그대로 쓰면 큰일 나요” 양치 전에 꼭…이것 해야 한다 (0) | 2024.02.11 |
고기 굽다가 발암물질 생길까 걱정? ‘이렇게’ 구우면 괜찮아 (0) | 2024.01.01 |
피부 늙는 것 막으려면 ‘이 음식’만은 피하세요 (0) | 2023.12.31 |
[르포] 일본 네스카페 서서 자는 '수면캡슐'…잠이 올까? (1)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