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헤드폰, 최대음량 커 사용시 주의해야"
http://media.daum.net/v/20140302120605687
http://media.daum.net/v/20140302120605687
출처 : [미디어다음] 생활경제
글쓴이 : 연합뉴스 원글보기
메모 :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시중에 판매 중인 헤드폰 중 크리에이티브(HQ-1600)와 TDK(ST-550) 제품은 최대 음량이 다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공기를 차단하는 밀폐형 헤드폰을 생산하는 23개 업체 31개 제품을 평가한 결과, 2개 제품은 상대적으로 최대 음량이 큰 것으로 나타나 최대 음량을 제한하는 유럽기준(EN50332-2)을 만족시키지 못했다고 2일 밝혔다.
EN50332-2는 소음성 난청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폰과 이어폰이 94㏈ 크기의 소리가 나올 때 재생기의 최대 출력을 75㎷ 이상 되도록 하고 있으나, 크리에이티브와 TDK의 두 제품은 사용할 때 재생기의 최대 출력이 75㎷ 미만이었다.
헤드폰이나 이어폰이 이 기준에 못 미친다는 것은 재생기의 출력이 75㎷일 경우 94㏈보다 더 큰 소리가 나올 수 있다는 의미다.
이 두 제품을 포함해 가격이 10만원 미만인 헤드폰 21종 중에서는 파이오니아(SE-MJ711)와 필립스(SHL-3105) 제품이 음향품질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다만 필립스 제품은 외부 소음을 10% 감소시켜 차음 성능이 상대적으로 뛰어났지만 파이오니아 제품은 거의 차단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만∼20만원 제품 10종 중에서는 슈어(SRH550DJ)와 젠하이저(PX-360) 제품의 음향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특히 슈어 제품은 내구성과 최대 음량제한 측면에서도 이상이 없었고, 외부 소음도 15% 감소시키는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소니, 슈어, 젠하이저 등 3개 브랜드 제품은 품질보증 기간이 2년으로 다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었다.
소비자원은 밀폐형 헤드폰의 가격·품질 비교정보를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의 비교 공감란에 올렸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국내는 음향 재생기 구매 시 함께 제공하는 헤드폰과 이어폰에 대한 최대 음량기준은 있지만 유럽처럼 각각의 장치에 대한 기준은 없다"며 "관련 기준 마련을 소관 부처인 환경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engine@yna.co.kr
(끝)
한국소비자원은 공기를 차단하는 밀폐형 헤드폰을 생산하는 23개 업체 31개 제품을 평가한 결과, 2개 제품은 상대적으로 최대 음량이 큰 것으로 나타나 최대 음량을 제한하는 유럽기준(EN50332-2)을 만족시키지 못했다고 2일 밝혔다.
EN50332-2는 소음성 난청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폰과 이어폰이 94㏈ 크기의 소리가 나올 때 재생기의 최대 출력을 75㎷ 이상 되도록 하고 있으나, 크리에이티브와 TDK의 두 제품은 사용할 때 재생기의 최대 출력이 75㎷ 미만이었다.
헤드폰이나 이어폰이 이 기준에 못 미친다는 것은 재생기의 출력이 75㎷일 경우 94㏈보다 더 큰 소리가 나올 수 있다는 의미다.
이 두 제품을 포함해 가격이 10만원 미만인 헤드폰 21종 중에서는 파이오니아(SE-MJ711)와 필립스(SHL-3105) 제품이 음향품질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다만 필립스 제품은 외부 소음을 10% 감소시켜 차음 성능이 상대적으로 뛰어났지만 파이오니아 제품은 거의 차단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만∼20만원 제품 10종 중에서는 슈어(SRH550DJ)와 젠하이저(PX-360) 제품의 음향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특히 슈어 제품은 내구성과 최대 음량제한 측면에서도 이상이 없었고, 외부 소음도 15% 감소시키는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소니, 슈어, 젠하이저 등 3개 브랜드 제품은 품질보증 기간이 2년으로 다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었다.
소비자원은 밀폐형 헤드폰의 가격·품질 비교정보를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의 비교 공감란에 올렸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국내는 음향 재생기 구매 시 함께 제공하는 헤드폰과 이어폰에 대한 최대 음량기준은 있지만 유럽처럼 각각의 장치에 대한 기준은 없다"며 "관련 기준 마련을 소관 부처인 환경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engine@yna.co.kr
(끝)
'Newspa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SS탐사보도-★띄우기 대작전①] 뜨고 싶은, 떠야 하는 `아이돌의 세계` (0) | 2014.03.09 |
---|---|
[스크랩] [Why] 추억을 읽는 30~40代.. 1980년대 아동全集, 부르는 게 값 (0) | 2014.03.08 |
[스크랩] 한국, `메달 종목` 다변화 시급하다 (0) | 2014.02.24 |
[스크랩] `겨울왕국` 한국서 유독 인기 왜? (0) | 2014.02.20 |
[스크랩] [소치올림픽] 안현수, `애국심 호소` 韓스포츠에 경종 울렸다 (0) | 201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