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한 물량공세 못 따라가는 진부한 스토리
[시네마&] 평양과 서울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해 건물이 무너지고 도시가 마비된다. 지진의 원인이 백두산 화산 폭발 때문임이 밝혀지고 전유경 청와대 민정수석(전혜진)은 오랫동안 백두산을 연구해온 로버트 김 박사(마동석)를 찾아가 자문을 구한다. 김 박사는 72시간 내 예정된 더 큰 추가 폭발을 막으려면 백두산 아래 갱도에 핵을 터뜨려 마그마를 분출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통령은 북한에 남아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서 핵탄두를 분리해 백두산에서 폭파시키겠다는 국정원 작전을 승인한다. 전역을 앞둔 폭발물 전문 요원 조인창 대위(하정우)는 만삭의 아내 최지영(배수지)이 미군과 함께 무사히 한국을 탈출하게 해준다는 조건을 받아들여 작전에 투입된다. 조 대위는 ICBM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북한에서 이중간첩 리준평(이병헌)을 만나야 한다.
역대 한국영화 중 다섯 번째로 많은(옥자, 설국열차, 디워, 마이웨이 다음으로) 총제작비 280억원이 투입된 영화는 관객 770만명을 넘겨야 비로소 제작비를 회수할 수 있다. 관객의 기대감을 증폭시키기 위한 영화의 최대 무기는 컴퓨터그래픽(CG)으로 구현한 재난 장면이다. 대형빌딩이 무너지고 다리가 끊기고 강물이 범람하고 화산이 용암을 분출하고 갱도가 붕괴되는 장면 등에 현란한 CG가 쓰였다. '신과 함께' 등의 CG를 만들어온 덱스터 스튜디오가 직접 제작에 나섰다.
우선, 하정우와 이병헌이 한 화면에 나오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거들먹거리며 좌중을 압도하는 이병헌과 시시콜콜하게 잔재미를 던지는 하정우의 케미는 누가 우위라고 하기 힘들 정도로 꽤 잘 맞는다. 이병헌의 정극 연기에 이어지는 하정우의 잔망스런 말장난은 색다른 개성의 버디 콤비로 손색 없다.
또 배수지는 처음으로 만삭의 아내와 엄마를 연기한다. 걸그룹 출신임을 의식했다면 결코 맡을 수 없었을 배역이다. 이 영화와 비슷한 장르의 드라마 '배가본드'에서 국정원 요원을 연기했다는 것을 떠올리면 참 낯선 모습이다. 그녀는 육탄전이 반복되는 영화에 따뜻한 온기를 불어넣는다.
무엇보다 아쉬운 점은 제목이 백두산임에도 정작 백두산을 보기 힘들다는 것이다. 고질라가 제대로 안 보이던 할리우드의 '고질라'(2014)가 연상된다. 영화에서 실제 백두산이 나오는 장면은 굉장히 짧다. 모두들 백두산 폭발을 이야기하지만 관객은 백두산이 어떻게 생겼는지 잘 모른 채 극장을 나와야 한다. 화산 폭발로 인한 불덩이가 스크린을 뜨겁게 달굴 것을 기대했다면 접고 가는 편이 좋다. 영화의 초점은 백두산보다는 오히려 북한의 핵무기에 맞춰져 있다. 그래서 어쩌면 '강철비 2'가 제목으로 더 어울리는 지도 모르겠다. 혹은 7번째 갱도에 핵을 설치한다는 점에서 '7광구 2'도 어울리는 제목이다.
[양유창 기자 sanity@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 : https://movie.v.daum.net/v/20191220160301756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젠 진짜 옛날 영화인데 여전히 꿀잼인 1990년대 영화 재발굴 (0) | 2020.03.22 |
---|---|
(젠틀맨) (0) | 2020.02.13 |
보고나면 똑똑해지는 SF 명작 3선 (0) | 2019.12.12 |
잘못된 엔딩으로 망할 뻔한 영화들 (0) | 2019.11.28 |
로튼토마토 선정, 2010년대 역대급 공포영화 10 (0) | 2019.10.31 |